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쓸데있는

2023년 계묘년 맞이 육십갑자 세는 법 알아보기. 12간지 띠 순서.

by _시월 2022. 12. 31.


2023년은 무슨 해일까?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 계묘년이다. 2022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 임인년이었다. 2024년은 갑진년 청룡의 해이다. 검은 토끼? 검은 호랑이? 파란 용? 이런건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 한 해가 저물어 갈 때면 다음 해의 이름이 무엇인지 궁금해지고 어떻게 그런 이름으로 불리는지 궁금해 했었는데 이번에 ‘계묘년’에서 뻗어나와 이런저런 검색어를 입력해보며 육십갑자 세는 법까지 찾아봤다.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육십갑자, 갑을병정~, 자축인묘~, 회갑, 12지지, 12간지’ 등 사전적 의미를 함께 찾아보며 왜 2023년이 계묘년이 되는지 알아보자.


[계묘년]의 ‘계묘’, [임인년]의 ‘임인’, [갑진년]의 ‘갑진’. 한 해가 마무리 되고 또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될 때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아. 그리고 이런 이름을 또 들어본 때가 있을 것이다. 바로 한국사 시간! [갑오개혁]의 ‘갑오’, [을미사변]의 ‘을미’, [갑신정변]의 ‘갑신’ 등. 이런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계묘, 임인, 갑진 등을 우리는 육십갑자라고 부른다. 육십갑자의 사전적 의미가 네이버 한자사전에서는 천간의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에 지지의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차로 배합하여 예순 가지로 늘어놓은 것. 이라고 나온다. 또 지식백과의 시사상식사전에서는 십간(10간)과 십이지(12지)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 라고 나온다.


단어의 뜻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십간(10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10개의 천간을 말한다. 이 십간을 간지로 짝을 맞출 경우 천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천간이라고도 부른다.


십이지(12지)는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로 그 수효가 모두 열두 개(12개)라는 데서 온 말이다. 그럼 ‘지지’는 무엇이냐. ‘지지’는 육십갑자의 아래 단위를 이루는 요소로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가 그것이다. 곧 지지는 총 12개이기 때문에 다른말로 십이지지라고도 하는 것이다.

단어의 뜻을 살펴봤으니 육십갑자를 세는 방법을 알아보자. 십간 10개에 십이지 12개를 순차로 배합하는 것이 육십갑자인데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728x90


분홍색 바탕으로 표시한 십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에 십이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가 순차로 배합되는데 표에서 십이지의 반복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십이지가 새로 시작될 때마다 색을 달리해서 표시했다.(빨주노초파) 십간 10개가 6번 반복되고 십이지 12개가 5번 반복되면 십간의 마지막 자 [계]와 십이지의 마지막 자 [해]가 만나 끝을 맺는다. 다시 십간의 첫 자 [갑]과 십이지의 첫 자 [자]가 만나 다시 육십갑자가 시작된다.

올해는 위의 사진에서 빨간 상자로 표시한 부분인 [계묘]년이다. 2024년은 갑진년, 2025년은 을사년, 2026년은 병오년이 되는 것이다.

육십갑자 이야기를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단어가 ‘회갑’인데 왜 회갑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여기다.

회갑이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인데 비슷한 말로 ‘환갑’이 있고 뜻은 회갑과 동일하다. 회갑의 ‘회’와 환갑의 ‘환’ 모두 ‘돌아온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12간지의 열두 동물 순서를 알아보자. 가끔 큰 벽걸이용 달력에서 날짜 아래에 동물 표시가 있는 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순서가 12간지 동물의 순서다. 아래는 집에 있는 농협 달력을 찍어본 사진인데 가끔 동물 순서가 헷갈리면 달력으로 달려가곤 한다.


12간지의 순서를 이모티콘과 함께 나열해보았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는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 순이다. 이걸 만들고 있는 지금도 글자와 동물 순서를 야무지게 매치하지 못하는데 이번 기회로 완벽하게 외워봐야겠다. 계묘년 새해를 맞이하여 육십갑자 세는 법을 알아봤다. 올해의 육십갑자가 무엇인지 내가 태어난 해의 육십갑자는 무엇이었는지 찾아보면 재밌을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