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월입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민화 카테고리에 글을 올려봅니다.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 중에 무료 민화 도안으로 검색해서 들어오시는 경우가 꽤 되더라고요. 한동안 민화를 즐겨 그렸던지라 ㅎㅎ 민화에 관심을 갖고 오시는 마음이 너무 반갑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도 민화 도안을 들고와봤습니다.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 당부의 말씀을 먼저 드려봅니다. 이 도안은 예전에 일월오봉도를 한 번 그려보려고 만들어둔 도안으로 다양한 사이트에서 유료로 판매하고 있는 도안과 달리 정확성이나 깔끔함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좋은 취미를 공유하고자 무료로 올리는 도안이니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오늘 다뤄볼 그림은 [일월오봉도]입니다. 간단하게 일월오봉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다양한 일월오봉도 중에서 하나를 골라 도안을 만든 것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먼저 일월오봉도란 日月五峯圖 간단하게 한자를 풀이 해보면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그림'을 말합니다. 바라보는 그림을 기준으로 왼쪽에 하얀 달이, 오른쪽에 붉은 해가 그려져 있고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져있습니다.
한국민족대백과 사전에 따르면 일월오봉도의 다른 이름으로는 오봉병, 일월오봉병, 일월오악도, 일월곤륜도가 있습니다. 저는 이 중에 일월오봉도를 가장 많이 들어본 것 같고 익숙하네요. 이 사전에서는 일월오봉도의 정의를 [조선시대 궁궐 정전의 어좌 뒷편에 놓였던 다섯 개의 산봉우리와 해, 달, 소나무 등을 소재로 그린 병풍]이라고 내렸습니다.
일월오봉도의 특징
일월오봉도의 특징으로는 조선후기의 오봉병 대부분이 폭에 관계없이 형식상, 구조상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1. 화면의 중앙에 다섯 개의 봉우리 가운데 가장 큰 산봉우리가 위치하고 그 양쪽으로 각각 두개의 작은 봉우리가 배치되어있다. 2. 해는 중앙 봉우리의 오른편에 위치한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위치하고, 달은 왼편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위치한다. 3. 폭포 줄기는 양쪽의 작은 봉우리 사이에서 시작하여 한두 차례 꺽이며 아래쪽의 파도치는 물 쪽으로 떨어진다. 4. 네 그루의 키 큰 소나무가 병풍의 양쪽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바위 위에 대칭으로 서 있다. 5. 병풍의 하단을 완전히 가로질러 채워진 물은 비늘모양으로 형식화되어 반복되는 물결무늬로 문양화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산과 물의 경계선 또는 작은 봉우리 같은 형식화된 물결 사이사이, 혹은 그 두 군데 모두에 위로 향한 손가락을 연상케 하는 하얀 물거품들이 무수히 그려져 있다.
처음 민화를 접하고 그냥 일월오봉도를 봤을때는 잘 몰랐는데 이 5가지 특징을 보고 그림을 다시 한 번 꼼꼼히 살펴보니 새롭게 다가옵니다. 조선후기에 그려져 남아있는 일월오봉도들은 위의 형식상, 구조상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채색이나 봉우리의 높낮이가 살짝 다를 뿐 비슷합니다.
일월오봉도의 가치
두산백과에서는 일월오도봉도의 가치 및 의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일월오봉도는 조선시대 국왕의 표상으로 기능한 중요한 그림이다. 도상의 문헌적 연원이 중국의 <시경>에서 찾을 수 있으나 동아시아에서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발달한 장르로 희소가치가 높다. 조선시대 궁중 회화를 가장 대표하는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만 발달한 장르라니. 또 한 번 그림이 새롭게 다가오네요.
인터넷에 검색하면 일월오봉도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그림을 찾아볼 수 있으니 꼭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뮤지엄의 소장품 검색란에 [일월오봉도]를 검색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고화질의 민화 자료를 찾을 수 있고 참 다양합니다. 예전에 올린 글인데 민화 원화 사진 고화질로 찾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참고해보세요.▼
2022.12.16 - [민화] - [민화] e뮤지엄에서 민화 원화 사진 자료 고화질로 찾는 방법. 도안 만들기에 좋음.
[민화] e뮤지엄에서 민화 원화 사진 자료 고화질로 찾는 방법. 도안 만들기에 좋음.
얼마전에 프로크리에이트를 이용해서 민화 도안 만드는 방법을 올렸는데 오늘은 도안 만들때 꼭 있어야하는 민화 원화 사진 자료를 고화질로 찾는 방법을 올려보려고 한다. e뮤지엄은 국립중앙
oct-10.tistory.com
제가 오늘 가지고 온 일월오봉도 도안 또한 이뮤지엄에서 검색해 찾은 오봉병을 보고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일월오봉도 그림이 있는데 제가 그린 도안은 [일월오봉도 삽병]으로 검색하면 찾기가 수월합니다. 검색하면 총 3건의 자료가 나오는데 세 점의 그림이 모두 같아보이지만 살짝씩 다릅니다. 저는 그 중에 창덕 6421의 소장품을 고화질로 다운 받아 작업했습니다. 위의 화면은 이뮤지엄에서 검색한 것을 캡쳐한 것으로 맨 오른쪽의 삽병을 다운 받았습니다. 원화를 좀 더 자세히 보려면 아래 그림과 봐주세요. 그리고 좀 더 고화질로 다운 받으시려면 위의 방법대로 이뮤지엄 사이트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이 일월오봉도 도안입니다. 프로크리에이트로 작업했습니다. 오래 전에 만들어둔 도안이라 어색한 감이 많네요. ㅎㅎ 민화 배우던 초기에 만들어 둔 도안이라 많이 엉성하고 부족합니다. 연습용으로 가볍게 이용해주세요.
그림 자체에 우클릭은 금지된 터라 이 아래 파일을 다운 받으시고 출력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jpg 파일과 png 파일 두 개를 올려봅니다. 저는 대형 복사점에 확대 복사를 맡겨서 전지 사이즈로 도안을 만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한지에 초만 떠두고 색은 안 올렸습니다. ㅎㅎ 집 어딘가에 초 뜨기 한 종이가 있을텐데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JPG 파일과 PNG 파일 모두 올려보겠습니다.(PNG파일이지만 배경이 제거된 상태는 아니고 JPG와 파일 형식만 다릅니다.)
부족한 도안이지만 민화를 처음 접하시고 일월오봉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 연습용으로 잘 쓰이길 바라며 올려봅니다. 일월오봉도를 그리는 방법은 검색하시면 다양한 분들이 올려주신 것이 많고 자세한 설명 해주신 분도 계십니다. 모두 즐겁고 행복한 그림 그리시길 바랍니다.
'민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크리에이트 꿀팁] 프로크리에이트 디지털 드로잉 민화 바림 효과, 느낌 내는 방법, 문지르기 툴 (1) | 2023.07.20 |
---|---|
[민화] 국립중앙박물관 故이건희 기증품 보는 방법/ 호랑이 민화 무료도안/ 호작도 (0) | 2023.04.06 |
[민화] 어해도의 의미와 상징/ 모사용 연습용 무료 도안 다운로드 (0) | 2023.03.04 |
[민화] 계묘년 기념 ‘방아 찧는 토끼’ 도안 무료 다운로드. (0) | 2023.01.01 |
[민화] 자손 번성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석류 소과도' 연습용 무료 도안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