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화10

[민화] 계묘년 기념 ‘방아 찧는 토끼’ 도안 무료 다운로드. 작년에 호랑이 그림 그리는 것이 나름 목표였는데 게으른 나는 이루지 못하고 2022년을 흘려보냈었다. 2023년 계묘년 토끼해에는 민화 속에 토끼를 찾아 꼭 그려보겠다고 다짐했는데 일단 도안부터 만들어봤다. (이렇게 만들어 놓고 안그릴수도 있다.ㅎㅎ) 사실 내가 민화 속 토끼를 떠올리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그림은 이 그림 말고 다른 ‘방아 찧는 토끼’ 그림인데. 그건 개인소장이라 도안 만들어서 무료 다운로드 하게 해도 되는지 모르니 ㅎㅎ 안전하게(?) 이뮤지엄에서 찾은 공공누리 1유형인 토끼 그림을 찾았다. 도안으로 만들어본 토끼 그림의 원화는 아래와 같다. 이뮤지엄 소장품 검색에 [토끼]를 검색어로 넣고 재질을 ‘종이’로 선택한 후 찾은 그림이다. 광복 이후 작품으로 현재 삼척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2023. 1. 1.
[민화] 자손 번성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석류 소과도' 연습용 무료 도안 민화는 다산, 장수, 출세, 부부 화합 등의 행복을 염원하는 그림이다. 내가 처음에 민화를 좋아하게 된 계기는 강렬한 색감과 원근법을 무시한 듯 한 사물들의 배치 때문이었다. 처음 접한 그림(책가도) 외에 문자도, 십장생도, 기명절지도, 어해도, 화조도 등을 알아가면서 민화에는 소망과 행복을 바라는 마음이 담긴다는 것을 알게 됐고 이후 더 큰 매력을 느끼게 됐다. 매주 kbs에서 방송하는 진품명품을 챙겨 보는데 의뢰품으로 민화 작품이 꽤 자주 나온다. 그때 마다 그림 속의 소재가 뜻하는 것들을 퀴즈로 내는데 거기서 많이 배우고 있다. ㅎㅎ 참고로 진품명품은 일요일에 방송된다. 만들어 놓은 도안을 뒤적거리다가 오늘은 석류를 그릇에 담아서 그려봤던 소과도 도안을 가지고 와봤다. 우선 소과도에 대한 설명을 적.. 2022. 12. 18.
[민화] e뮤지엄에서 민화 원화 사진 자료 고화질로 찾는 방법. 도안 만들기에 좋음. 얼마전에 프로크리에이트를 이용해서 민화 도안 만드는 방법을 올렸는데 오늘은 도안 만들때 꼭 있어야하는 민화 원화 사진 자료를 고화질로 찾는 방법을 올려보려고 한다. e뮤지엄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전국 소장품 검색 가능 사이트로 검색창에 [이뮤지엄]이라고 검색해도 나온다. 나는 그냥 e뮤지엄을 검색해서 들어가봤다. 이 사이트는 민화 도안 작업하려는 사람들에게 꼭 알려주고 싶은 곳인데 소장품 검색하기도 쉽고 간단하니 아래 방법을 잘 따라서 찾으려는 그림을 꼭 찾을 수 있길 바란다. 먼저 사이트에 접속해서 보이는 메인 화면에서 오른쪽 위를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은 돋보기가 보인다. 이걸 클릭하면 소장품 검색을 할 수 있다. 돋보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검색어를 입력하는 칸에 원하는 검색어를 넣고 검색을.. 2022. 12. 16.
[민화] 문자도 “쌍희 희” 창작 도안. 다운로드 가능 파일 첨부. ‘기쁠 희’가 두 개 겹친 ‘쌍희 희’ 운영하는 블로그에 민화 도안 작업해서 그림 그리는 과정 올려둔 글이 몇 개가 있는데 최근들어 만드는 법이라든가 구하는 곳이라든가 하는 문의 댓글이 많았다. 생각난김에 오랜만에 예전에 작업해둔 도안들을 구경했는데 초보자들이 간단하게 연습겸 그려볼만해 보이길래 하나 파일을 들고와봤다. 2020년에 혼자 집에서 그려본 문자도 ‘쌍희 희’라는 글자다. ‘기쁠 희’가 두 개 겹쳐져 기쁨이 배가 된다는 뜻이었던 것 같다…(기억이 잘 ㅎㅎㅎ) 사실 완성한 그림이 어디 있는지도 잘 기억이 안난다. 연습용으로 해본거라 판넬 작업도 안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ㅎㅎ 그렸던 과정들을 네이버 블로그에 올렸었는데 링크를 걸어두겠다. https://m.blog.naver.com/thebitnada/221791767892 그때 올린 그.. 2022. 12. 13.
728x90